![[#9] 완전 기초부터 시작하는 블렌더](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gb16u%2FbtsDqQyDKQ0%2FKNlQaoQK2X5W0dGOt75lp1%2Fimg.png)
1. 오브젝트 만들기 1-1. 초콜릿 Cube 오브젝트를 하나 생성해서, 납작하게 만들어 초콜릿모양으로 만들었다. Array Modifier (배열) 특정 방향으로 오브젝트를 복사해주는 것이다. 이것을 이용해 초콜릿 패턴을 만들었다. 1-2. 빵 UV Sphere를 하나 생성한 후, 반을 날려 반 구로 만들었다. 그 후, Subdivision Surface를 적용해 부드럽게 해주었고, Loop cut을 조절해 펑퍼짐한 느낌을 주었다. Proportional Editing 뷰포트의 상단에, 동그라미가 여러개 있는 표시가 있는데, 그걸 누르면 Proportional Editing을 활성화할 수 있다. 그리고 점을 하나 잡고 움직여보면, 근처에 있는 것들도 같이 따라와 자연스럽게 늘리고 줄일 수 있다. 이것을..
![[#8] 완전 기초부터 시작하는 블렌더](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8xRVQ%2FbtsDuTA5MK0%2FuKPMxillDgKfz6AbyggWp1%2Fimg.png)
1. PBR Texture (Physically Based Redering) 1-1. PBR Texture란? 2D 면의 형태를 띈 물체를 입체감이 있게 재질을 표현하는 것이다. 이것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외부 사이트에서 PBR Texture를 다운받아야 한다. ambientCG 바로가기 텍스쳐를 다운받을 때에는 .png 파일로 다운받는 것이 제일 적절하다. 화질도 설정할 수 있는데, 8K 화질은 1기가 가까이 돼서 4K로 다운받았다. Color.png는 색상에 관한 정보를 담고 있고, Roughness.png 재질의 거친 정도를 표현할 때 사용된다. Normal~~.png는 요철, 즉, 재질의 높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Displacement.png는 높이에대한 정보를 담고 있는데, 이것은 Mesh..
![[#7] 완전 기초부터 시작하는 블렌더](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AP9xT%2FbtsDrnQofUl%2FypkkqrjdCnvU1vfkhrgkS1%2Fimg.png)
1. 오브젝트 Scale 조정 N키를 누르면 Viewport 오른쪽에 메뉴가 생긴다. 여기서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Item 탭이 생기는데, 여기서 Dimensions에 오브젝트의 크기가 미터단위로 나와있다. 따라서 이걸 보며 오브젝트의 크기를 조정해주어야 한다. 나의 경우는 컵의 크기가 3미터가 넘어가서, Z축이 0.1미터가 되도록 줄여주었다. 2. 바닥 생성 후 오브젝트 놓기 Plain을 생성 후, 컵과 접시를 이 위에 놓아주어야 한다. 뷰포트 상단에 있는 자석아이콘을 누르면,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1미터 단위로 보정되어서 움직여진다. 자석 옆에 있는 아이콘을 누르면, 몇가지 옵션이 뜨는데 초기값은 Increment이다. 이것을 Face로 바꾼 후 컵과 접시를 Plain 위에서 움직이면 Plain에 딱 붙..
![[#6] 완전 기초부터 시작하는 블렌더](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cUzIpI%2FbtsDs3qjlrQ%2F5uvrSvXbWfLAOYSyjoIyck%2Fimg.png)
숙제로 했던 접시 만들기는 거의 자유 주제라 풀이에 어긋나지 않아 생략하였다. 1. Modifier 뷰포트 오른쪽에 있는 창에서 아래 있는 것이 Properties 탭이고, 거기서 스패너 모양의 버튼을 누르면 Modifier를 제어할 수 있다. 우선, 컵에 Subdivison Surface라는 Modifier를 적용했다. Subdivision Surface에 두 속성이 있다. Levels Viewport : 이 Modifier를 적용하는 정도 Render : Viewport에서는 적용되지 않고, 렌더링할 경우에 적용되는 Modifier의 정도 보통 이 두 값을 같게 둔다. 하지만, 컵이 더 부드러워야한다...! 그렇다고 Levels Viewport값을 크게주면 안된다. 블렌더가 하얗게 질려버린다. Lev..
![[#5] 완전 기초부터 시작하는 블렌더](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I8diw%2FbtsDp8NesW8%2FKai2oIYGR6YgLYD0eG9kyk%2Fimg.png)
이번 강의부터는 본격적인 모델링 작업에 들어갈 것이다. 1. 레퍼런스 이미지 생성 만들 물체의 적절한 이미지를 찾은 후, Shift + A를 눌러 오브젝트 생성 탭으로 들어간다. 그 후, Image > Reference를 눌러 저장해둔 이미지를 불러온다. 그러면 이렇게 레퍼런스 이미지가 불러와진다. 2. 모델링 2-1. 둥글게 표현 모델링하려는 머그컵은 아래로 갈수록 둥글게 좁아지는 형태를 띄고 있다. 그래서 밑면을 줄여주었는데, 이대로는 그냥 직선으로 떨어지는 머그컵이 되어버린다. 그래서 Loop cut을 이용해 편집점을 추가해주어야 한다. Loop cut에 들어가서, 노란 선이 나올 때, 휠을 굴리거나 숫자를 입력하여 Loop cut의 개수를 지정할 수 있다. 이상태로 생성된 편집점을 조절해 머그컵과..
![[#4] 완전 기초부터 시작하는 블렌더](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SjFL0%2FbtsDohcIV0Y%2FMMOLbbCcXiWWrggPJtA7kk%2Fimg.png)
1. L-I-E L-I-E는 Object Mode의 G-R-S와 같이 Edit Mode의 주요 기능 세개를 묶은 것이다. 1-1. Loop cut Loop cut은 오브젝트를 고리모양으로 자르는 기능이다. Edit Mode에 진입한 후, Ctrl + R을 누르면 Loop cut에 진입하고, 그 상태에서 마우스를 오브젝트 모서리에 가져다 대면 노란색 선이 생긴다. 이상태로 좌클릭을 하게 되면 노란색 선이 주황색으로 바뀌고, 그 선이 마우스를 따라 움직여 Loop cut을 어디에 할지 정할 수 있다. 이 때 좌클릭을 누르면 주황색 선이 있는 곳에 Loop cut이 생기고, 우클릭을 누르면 정가운데에 생긴다. Loop cut을 실행한 후에는 점과 선만 생기고 아무일도 안일어나는데, 이것이 핵심 기능이다. Lo..